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클라스/건강

Health_1형 2형 당뇨병의 차이와 당스파이크 관리.

by 클래스는 영원하다 2025. 2. 8.
반응형


당뇨병 제1형과 제2형의 차이는 원인과 발병 기전에서 크게 다릅니다.

1형 당뇨병
• 원인: 면역 체계가 췌장의 **베타세포(인슐린 분비 세포)**를 공격하여 인슐린이 거의 또는 전혀 생성되지 않음.
• 발병 연령: 주로 어린이, 청소년, 젊은 성인에서 발생하지만, 성인에서도 드물게 나타남.
• 특징:
•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반드시 인슐린 주사가 필요함.
• 급성으로 나타나며 다뇨, 다갈, 체중 감소 같은 증상이 심하게 나타남.
• 원인이 자가면역 반응이므로 예방이 어려움.

2형 당뇨병
• 원인: 인슐린 저항성(세포가 인슐린에 반응하지 않음)과 인슐린 분비 감소가 함께 작용.
• 발병 연령: 주로 중년 이후 성인에게 나타나지만, 생활습관 변화로 인해 젊은 층에서도 증가하는 추세.
• 특징:
• 초기에는 약물(경구 혈당강하제)과 생활습관 개선(운동, 식이 조절)로 조절 가능.
• 진행되면 인슐린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음.
• 비만, 운동 부족, 유전적 요인이 주요 위험 요소.


결론

1형 당뇨는 인슐린이 아예 부족해서 꼭 인슐린 주사가 필요하고, 2형 당뇨는 인슐린 저항성 때문에 발생하며 초기에 생활습관 개선과 약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당뇨는 소변을 동반하나

반응형

Image od pancreas. Flickr



네, 당뇨병은 자주 소변을 보는 증상(다뇨)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혈당이 높아지면 신장이 이를 배출하려고 하면서 소변의 양이 많아지고, 동시에 갈증(다갈)도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 모두에서 초기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지속적인 고혈당 상태가 신장 기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만약 평소보다 소변을 자주 보거나, 갈증이 심해졌다면 혈당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요인(예: 이뇨제 복용, 과도한 수분 섭취 등)도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의료 상담을 권장합니다.


탄수화물이나 단백질때문에도 소변이 잦아질수 있나?

네, 탄수화물과 단백질 섭취가 소변량과 빈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메커니즘이 다릅니다.

1. 탄수화물과 소변 증가
• 탄수화물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혈당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 혈당이 높아지면 삼투압 이뇨(혈당이 신장으로 배출되면서 물도 함께 빠져나가는 현상)가 발생하여 소변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특히 고탄수화물 식단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당뇨병 전단계나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경우 다뇨(소변이 자주 마려움)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집니다.

2. 단백질과 소변 증가
•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체내에서 단백질 대사가 활발해지면서 요소(urea)와 같은 노폐물이 생성됩니다.
• 신장은 이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더 많은 소변을 만들어 배출하게 됩니다.
• **고단백 식단(예: 케토 다이어트, 육류 위주 식단)**을 하면 수분 손실이 많아지고, 갈증이 증가하면서 소변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 하지만 건강한 신장을 가진 사람이라면 심각한 문제는 아니며,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 **단백뇨(소변에서 단백질 검출)**가 동반된다면 신장 질환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
• 탄수화물 과다 섭취 → 혈당 상승 → 소변 증가 가능
• 단백질 과다 섭취 → 노폐물 배출 증가 → 소변 증가 가능
• 하지만 당뇨병, 신장 질환 등의 기저 질환이 없다면 큰 문제는 아닙니다.
• 소변이 너무 잦거나 색이 짙고 냄새가 강하면 수분 섭취 부족일 가능성이 크므로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당스파이크를 줄이는 식습관 및 생활습관
최근 당스파이크에 대한 관심이 많지요. 여기저기 방송 등을 통해서도 음식을 먹는 순서와 먹지말아야할 음식들을 소개하지요.

당 스파이크(혈당 급상승)를 막는 식습관, 음식, 식사 순서

✅ 1. 식습관
1. 천천히 먹기 → 혈당이 천천히 오르고 인슐린 반응이 원활해짐.
2. 소량씩 자주 먹기 → 한 번에 많은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급격한 혈당 상승이 발생.
3. 식이섬유 충분히 섭취 → 탄수화물 흡수를 늦춰 혈당 상승을 완화.
4. 탄수화물은 단백질·지방과 함께 섭취 → 혈당 급상승 방지.
5. 가공된 정제 탄수화물(흰쌀, 흰빵, 설탕) 줄이기 → 복합 탄수화물(현미, 통곡물)로 대체.
6. 식후 10~30분 가벼운 운동(산책, 스트레칭) 하기 → 혈당 조절에 도움.

✅ 2. 혈당 조절에 좋은 음식
✔ 단백질 & 건강한 지방 → 혈당을 천천히 올리고 포만감 유지
• 닭가슴살, 생선(연어, 고등어), 두부, 계란
• 견과류(아몬드, 호두), 아보카도, 올리브유

✔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 → 탄수화물 흡수 속도 조절
• 채소(브로콜리, 시금치, 양배추, 버섯)
• 콩류(렌틸콩, 병아리콩, 강낭콩)
• 통곡물(현미, 귀리, 퀴노아)

✔ 저당도 과일 →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적음
• 베리류(블루베리, 라즈베리, 딸기)
• 사과, 배(껍질째 섭취)
• 자몽, 키위

✔ 발효식품 → 장 건강을 개선하고 혈당 조절에 도움
• 김치, 된장, 요거트(무가당), 낫토

✔ 혈당 안정에 도움 되는 음료
• 녹차, 우롱차 → 인슐린 감수성 개선
• 애플사이더 식초(식전 1~2스푼 + 물) → 탄수화물 흡수 억제

✅ 3. 혈당 스파이크 방지하는 식사 순서
(※ GI 수치를 고려한 섭취 순서)
1️⃣ 채소(식이섬유) 먼저 → 혈당 상승 억제
• 샐러드, 나물, 데친 채소부터 섭취
2️⃣ 단백질 & 건강한 지방 섭취
• 고기, 생선, 두부, 견과류
3️⃣ 탄수화물(복합 탄수화물) 섭취
• 현미, 귀리, 통밀빵 등
4️⃣ 디저트는 최소화 & 식후 운동
• 설탕이 많은 디저트는 피하고, 가볍게 걷기

📌 정리
• 채소 → 단백질·지방 → 탄수화물 순으로 섭취
• 현미, 귀리, 통곡물 같은 저 GI 탄수화물 선택
• 단백질과 함께 먹어 혈당 급등 방지
• 식후 산책 & 애플사이더 식초 활용

이렇게 하면 당 스파이크를 줄이고 혈당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