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포스트모더니즘과 동시대미술(Contemporary Art)은 서로 연결되지만 구별되는 개념이다.
1.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 등장 배경: 20세기 중반, 특히 1960~70년대에 모더니즘(Modernism)의 한계를 비판하며 등장.
• 특징:
•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 기존 예술의 순수성, 진보적 역사관을 해체.
• 다양성과 혼합: 다양한 양식, 미디어, 문화 요소를 결합(콜라주, 패스티시).
• 권위에 대한 회의: 원작성과 예술적 권위를 의심(시뮬라크르, 차용).
• 상업성과 대중문화 수용: 광고, 만화, 디자인, 영화 등의 요소를 적극 차용(예: 팝아트).
• 텍스트성과 다중 해석 가능성: 하나의 고정된 의미보다 관람자의 해석을 중시.
• 대표 작가 및 경향: 앤디 워홀(Pop Art), 장 미셸 바스키아, 제프 쿤스(키치 예술), 바바라 크루거(페미니즘 아트) 등.
2. 동시대미술(Contemporary Art)
• 등장 배경: 198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흐름.
• 특징:
• 글로벌·다문화적 성격: 특정 서구 중심 예술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와 지역에서 창작됨.
• 사회·정치적 이슈 반영: 젠더, 환경, 인공지능, 팬데믹 등 동시대 문제를 탐구.
• 매체 확장: 회화뿐 아니라 설치, 비디오아트, 퍼포먼스, NFT 등 새로운 기술과 융합.
• 관객 참여 및 경험 중심: 일방적인 감상이 아니라 관객이 직접 참여하는 형식 확대.
• 예술 시장과의 결합: 경매, 갤러리,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상업적 유통 활발.
• 대표 작가 및 경향: 아이 웨이웨이(정치적 설치미술), 올라푸르 엘리아손(환경미술), 쿠사마 야요이(몰입형 설치) 등.
3. 비교
포스트모더니즘이 모더니즘을 비판하며 등장했다면, 동시대미술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다양한 사회적 이슈와 기술 변화를 반영하며 발전하고 있다.
'Chat GPT와 검색 질문들 >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mo_키치(Kitsch) (0) | 2025.03.15 |
---|---|
Memo_영화나 문학에서의 맥거핀 (0) | 2025.03.09 |
Memo_현대미술의 전유, 혼성모방, 오마주, 패러디 (1) | 2025.02.22 |
[질문] 한국의 미술시장규모와 세계적으로 발전할 가능성에 대해 (0) | 2025.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