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기간
2022/08/02-2022/10/23
전시장소
광주시립미술관 본관 제1-2전시실
작품수
170여점
기획의도
조각가 권진규는 사회적으로 혼란했던 시대에 겪을 수밖에 없던 개인적 어려움과 미술계로부터 냉대를 받았던 작가로서의 서운함 때문에 스스로 생을 마감한 “비운의 예술가”로 인식 되어진 면이 있다. 이제는 ‘이상’과 ‘영원’을 추구하고자 구도자적 자세로서 치열하게 예술에 임하였던 “조각가 권진규”로 바로 볼 수 있도록, 그가 남긴 작품들에 집중할 때다. 다시, 보고 싶은 권진규의 작품을 가깝게 마주하여 한국근현대미술사의 일단을 대표하는 조각가 권진규를 제대로 기억하기 바란다.
전시내용
이번 전시는 권진규 생애 전반에 걸쳐 제작한 작품 120여 점과 아카이브, 드로잉 50여점을 선보이는 역대급 회고전으로, 작가의 작품 활동 시기별 세 섹션으로 구분하여 작가의 작품세계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47~1959년은 서양화가 이쾌대(1913~1965년)가 운영하였던 성북동회화연구소 시절부터, 앙트완 부르델(Emile Antoine Bourdelle, 1861~1929)의 계보를 잇는 시미즈 다카시(1897~1981)에게 배웠던 무사시노 미술학교시절과 일본 재야 미술공모전(二科會, 一陽會)에서 여러차례 수상하였던 때까지의 작품을 선보인다. 1960~1969년은 서울로 돌아와 동선동에 직접 우물과 가마를 갖춘 아틀리에를 짓고 구상과 추상의 경계에 있는 독자적인 테라코타 작품을 제작하여 한국과 일본에서 개인전을 개최, 국내 화단의 경향과는 달랐던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알렸던 작품을 전시한다. 1970~1973년은 일본에서의 개인전을 성공적으로 개최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여전히 빛을 발하지 못하였지만 세 번째이자 생애의 마지막 개인전을 치루며 작가로서의 투혼을 발휘, 독자적인 건칠 기법의 작품을 제작하였던 때의 작품을 살펴볼 수 있다.전시장 일부에서는 권진규 작가의 작품 본연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작가가 구상하였던 것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마케트(밑그림용 모형 조각상), 종이에 드로잉 작품, 그가 자세히 보고 탐독하였던 다양한 주제의 도서들과 그 위에 그가 치밀하게 적어 놓았던 기록을 상세히 볼 수 있게 했다. 또한 작가의 테라코타와 건칠 작품 제작 과정을 보여주는 시연 영상과, 작가를 가까이에서 지켜보았고 지금까지 그의 작품을 지켜온 유족 인터뷰 영상을 마련하여 작가의 기법적 독자성을 살피고 작가의 생애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광주시립미술관>
'Art 클라스 > Re전시정보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비안 마이어 사진전> 그라운드 시소 성수 (0) | 2022.08.05 |
---|---|
<민성홍_두개의산,두개의달,그리고 물> 봉산문화회관 (0) | 2022.08.03 |
<바로크 백남준> 백남준아트센터 (0) | 2022.08.01 |
<나의잠>문화역서울284 (0) | 2022.08.01 |
<파리의 마에스트로_이응노&이성자> 이응노미술관 대전 (0) | 2022.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