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기간: 2022/4/21-2022/05/26
관람시간: 화-토 10:00-18:00 일 월 휴관
전시작가:스스무 카미조
전시장소: 페로탕 서울
페로탕 서울은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중인 일본 태생의 작가 스스무 카미조의 개인전 《Alone with Everybody》 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스스무 카미조의 첫 페로탕 전시이자 최초의 내한 전시다.
카미조의 푸들은 작가가 푸들을 처음 그리기 시작한 2014년부터 큰 주목을 받아왔다. 작가가 푸들 작업을 시작하게 된 배경은 이렇다. 어느 날 애견미용사인 애인이 일하는 모습을 보던 중 푸들의 형상이 눈에 들어왔고 그것이 흥미롭게 다가왔다고 한다. 작가는 푸들에 매료된 계기가 거의 우연이나 다름없다고 말한다. 이번에 개최되는 《Alone with Everybody》 에서는 본능적 요소와 영묘함이 종종 함께 표현되는 카미조 작업의 지속적이며 유희적인 진화를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최근작들은 특별한 관심을 두지 않았던 관객 마저도 푸들의 형상이 무엇을 가능하게 할지 사유하게 하는, 더욱 매력적인 대상으로 진화했다. 그러나 이런 변화에도 불구하고 최근작에는 그가 그린 초기 푸들의 모습 역시 나타난다 – 푸들의 색은 여전히 선명하고 풍성한 형태 또한 그대로 유지되었다. 다만 그 형상은 이제 추상적인 푸들 형태를 본질적으로 감각적이고 환기적인 무언가로 변모시키는 공간적 요소로 작용한다. 나무가 늘어선 미니멀한 배경에 앙다문 이빨을 드러낸 모습의 푸들은 격렬한 몸짓을 통해 생동감을 드러낸다. 작가가 말하듯, 캔버스에 포착된 푸들의 제스처는 빠르게 써 내려가는 일본 서예의 문자만큼 빠르다.
카미조의 화면에서 이런 재빠른 움직임의 표현은 서예적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빠르게 그려낸 이미지는 작가의 모든 작품에서 장식적 요소로 등장하는 배경의 동그라미에 눈이 고정되기까지 끊임없이 화면을 훑어 보며 탐색하도록 하는 시선을 만들어내는 푸들이자 형태가 된다. 동그라미는 캔버스에서 찾아볼 수 있는 다른 색들과 대개 대조를 이루며, 내러티브를 상징하는 편재적인 표지가 된다. 미니멀한 풍경에 얹어지는 카미조의 동그라미는 소박하게 펼쳐지는 그림 속에서 강력하고 친숙하게까지 느껴지는 표식으로 작용한다.
어쩌면 나에게는 그림 속 모든 주인공이 혼자 있는 것을 경멸하는 것처럼 보이며, 사실 그들의 마음 한 구석에는 끊임없이 누군가 또는 어떤 것 과의 깊은 관계를 찾고 있는 것 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 Susumu Kamijo on the show title "Alone with Everybody"
카미조의 작품은 역동성의 흔적을 담아내며 푸들의 형상이 무엇이 될 수 있는지, 또 관객으로부터 어떤 것을 환기시킬 수 있는지 보여준다. 작가가 여러 번 상기시키듯 그의 그림은 개라는 존재로서의 푸들과는 무관하며, 오히려 푸들의 형상이 무엇을 제시할지에 의미를 둔다. 한 대담에서 작가는 다음의 세 가지 요소에 주목한다고 했다: 푸들의 얼굴, 그림의 풍경, 그리고 회화의 구도 그 자체. 카미조가 그린 형상이 캔버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화면을 확대하기도 하고 조정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효과는 상징과 내러티브로 발전하게 될 푸들 형상과 독특한 풍경을 결합하는 붓터치를 그림 속 풍경과 병치함으로써 나타난다.
작가의 최근 작품들은 다양한 색의 띠가 파스텔 톤 및 차분한 톤의 색과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루는 초상화의 형태를 취하는데, 가까이서 묘사한 푸들의 얼굴을 강조하는 부분이야 말로 바로 카미조의 그림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서로 어우러지는 지점이다. 카미조의 작업은 관객으로 하여금 푸들 이미지 그 자체를 보게 하는 동시에 각각의 점, 모양, 그리고 색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게 하기 때문이다. 복슬복슬하고 무심한 듯한 생명체의 얼굴과 눈빛이 점점 가까이 다가올 때 그 형상은 우리의 시선을 사로잡는 해체된 형태로서 교묘히 그 모습을 드러낸다.
카미조는 2021년 7월, 한 팟캐스트 방송에서 화가란 종종 본인의 ‘감정의 욕조’를 바탕으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라고 언급했다. 카미조는 푸들이 관객 시선의 핵심까지 파고든 세계로 우리를 초청한다. 관객의 시선은 나무들이 앙다문 푸들의 이빨에 맞추어 말없이, 평화롭고 가지런히 줄지어 서 있는 풍경에 고정되어 있다. 카미조는 자신의 감정을 쏟아내는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닐 수 있다. 결국 우리가 발견하게 되는 것은 예술적 기량이 정점에 이르러 작품을 통해 관객을 매료하고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회화의 대가다. 그러한 그림을 마주하는 우리는 작가가 제시하는 수수께끼 속에서 신성하고 고유한 상징성을, 그리고 본능적인 붓질 속에서 피어나는 형태의 근원을 찾는다.<페로탕>
... 초기작에서 보여준 종이 위의 행복한 표면 뒤에 감춰진 더욱 강렬한 힘을 발견했다.
— Editor Danny Kopel on Susumu Kamijo's transition from figuration to abstraction
'Art 클라스 > Re전시정보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고래> 서울스카이 (0) | 2022.05.10 |
---|---|
<초록색수집> 문화실험공간 호수 (0) | 2022.05.10 |
김참새<Collision:Anxiety> 에비뉴엘 아트홀 잠실 (0) | 2022.05.09 |
[종료]포킴 <지상의 낙원을 그리다>학고재갤러리 (0) | 2022.05.07 |
[종료]<잃어버린 질문>갤러리 드플로허 (0) | 2022.05.07 |
댓글